posted by Evhybrid 2024. 1. 23. 21:18

안녕하세요. 저는 2020년에 모델3를 구매하였고 아주 만족스럽게 현재까지 운행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24년 신형 모델3 하이랜드를 추가 구매를 하려고 합니다.

이에 따라 보조금이나 각종 정보를 공부하고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 구매 추천인 코드 : https://www.tesla.com/ko_kr/referral/taejin53252

 

1. 24년 신형 모델3 1회충전주행거리 인증현황(KENCIS)

※ 제가 알기로 저온 테스트는 차량에 풀히터 상태에서 실험 한다고 들었습니다. 따라서 위 주행거리보다 훨씬 긴 주행거리가 나옵니다.

 

2. 국가 보조금 

 (1) 대한민국 환경부의 아주 느린 일처리로 인해 보조금은 2월이 지나야 가닥이 나올꺼 같습니다.

 (2) 다만 24년의 전체 보조금 금액이 23년보다 10% 줄었다고는 하나 23년에는 경기 영향으로 전기차가 많이 판매되지 않아 보조금이 남은 경우가 많고, 청년층 구매와 첫 전기차 구매시 혜택을 주려고 한다고 들었으니 조금 기대해 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3) 하지만 23년에 모델Y RWD 모델이 하반기 4개월만에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 하였는데, 이 모델은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되고, 중국 LFP 배터리가 장착되었습니다. 현대기아차와 같은 경쟁사와 언론은 이를 부정적으로 보도하여 24년 보조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되나 국내에서도 중국의 BYD LFP배터리가 장착된 KG모빌리티(구 쌍용) 모델도 있고, 국내 메이커도 LFP 배터리를 적용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향 후 결과를 지켜봐야 될 것 입니다.

 

3. 신형 모델3 하이랜드 특징, 정보

 이미 중국, 일본을 포함하여 우리나라를 제외한 아시아 각 지역에서 판매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외관 디자인이 날렵하게 변하고, 실내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방식의 변경이 있었습니다.

 (1) 기어와 방향 지시등 조작 스틱이 사라졌으며, 핸들 모양 변경등

 (2) 뒷자석 디스플레이 추가.

 

 

4. 리뷰 영상 공유

 (1) CARWOW BYD 모델과 비교 : https://youtu.be/3CRLzRwsFuo

 

 (2) 모카 싱가폴 전시 차량 분석 및 시승 : https://youtu.be/cHqydxruOvM

 

https://youtu.be/VlG__jVpc-0

 

 

5. Update

   (1) 24년 03월 10일,  모델3 하이랜드가 국내에서 포착되었습니다. 출시가 얼마 남지 않은거 같습니다!

 

(2) 24년 03월 18일 : 하이랜드 차량이 1500대 이상 입항 한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테슬라 구매 추천인 코드 : https://www.tesla.com/ko_kr/referral/taejin53252

posted by Evhybrid 2020. 5. 2. 02:39

이 글은 제 주관적은 글이오니 양해 부탁 드립니다.

 

현재 국내에서 테슬라 모델3는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고, 그 중 롱레인지 선택이 많다고 합니다.

 

롱레인지의 장점은 Dual motor 로 앞뒤로 모터가 달려 있고, 4바퀴 모두의 트랙션 컨트롤이 우수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로백이 1초 차이로 스플이 5.6초 롱레인지가 4.6초 입니다. (제로백에서 1초는 엄청난 차이)

물론 여유가 있으면 롱레인지가 답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 중 스피드를 요하시는 분은 퍼포먼스를 택하시겠죠.

하지만 가격 차이가 무려 천만원 입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가성비 입니다. 과연 가성비를 선택 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의 롱레인지 유저들의 추천에 의해 스탠다드 플러스를 쓸모 없다고 생각하고 롱레인지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당연 주행 가능 거리 때문입니다. 

 

두 모델의 거리를 비교해보면, (국내 연비 기준)

롱레인지는 446km

스탠다드 플러스는 352km 로 94km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현재 봄 날씨에 제 스플 주행거리는 100% 완충시 약 380km 정도 나오고 있지만...

 

겨울의 국내 공식 연비는 엄청나게 떨어진다고 하는데,

겨울(저온) 공식 연비를 보면 212km, 273km로 61km의 차이가 있습니다. (상온 대비 -33km 차이가 줄어듬)

 

하지만 전기차 유저들은 배터리 수명에 겁이(?) 나기 때문에 10~90% 나 20~80%만 충전해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간단히 비교 해보면,

 

구 분 스탠다드 플러스(km) 롱레인지(km) 차이(km)
상온 352 446 94
저온 212 273 61
상온(10~90%) 281 356 75
저온(10~90%) 170 219 49
상온(20~80%) 212 268 56
저온(20~80%) 128 163 35
       

와~ 저온에서 20~80% 충전하면 겨우 35km 차이 나네요. 

 

롱레인지가 듀얼모터로 훌량한건 알겠습니다만,

 

가성비를 선택 하시는 분은 스플을 추천 드리는 바입니다. 한두푼이 아니고 천만원 차이 입니다. 

 

5~10분 슈퍼차저 충전 하시고 돈까스를 4년은 더 먹을 수 있습니다 ㅋㅋ

아니면 아껴 두셨다가 사이버트럭 구매할때 대비해 준비해 두세요 ㅎㅎ 

 

저는 사실 불가능한 희망일수도 있지만,

테슬라가 앞으로 소프트웨어 및 자율주행 옵션 판매에 우선 순위를 둔다면

미래에 좋은 배터리로 교체가 가능한 날이 일을꺼라고 감히 생각해 봅니다. 

 

그러면 같은 배터리를 장착 했을때 Range는 Long Range가 아닌 스플의 승리 입니다. 왜냐면 듀얼모터보다 단일 모터가 연비가 좋기 때문이죠. (단일 모터 성능 + 차체 무게)

 

(저는 롱레인지 RWD 모델을 없앤 것은 테슬라의 상술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교통사고는 최악의 시나리오 이지만, 

듀얼모터는 앞에도 모터가 있기 때문에 사고시 부담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무조건 전기차는 롱롱익선이라는 이유로 롱레인지를 추천 하시는 분들 때문입니다.

결정장애가 큰 분들에게는 시련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따지고 보면 몇키로 차이도 안나는데)

테슬라는 슈퍼차저도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 한개 보면 100km 이상 충전 됩니다.

(물론 주말 충전은 더 어려워 지겠지만 ㅠ) 

 

참고로 저는 모델3 스탠다드 플러스로 현재 회사에서 출장을 겸하고 있습니다. 

적으면 왕복 200km에서 많으면 300km를 출장 다니고 있지만,

적으면 한번에 출장이 가능하고(출퇴근 포함) 멀면 중간에 충전을 한번 하고 있습니다.

그럼 제가 롱레인지 유저라면 저와 사정이 다를까요?

물론 더 안전은 하겠지만 롱레인지를 탔어도 장거리 출장시는 한번 더 충전을 할꺼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엄청나게 작은 나라 입니다. 

자신에 맞게 상황에 맞게 모델을 선택 하셨으면 하는 바램에 이런 글을 올립니다.

 

저도 롱레인지가 무조건 부럽지만 실속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으로써 

개인에 맞게 좋은 선택을 하셨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posted by Evhybrid 2020. 3. 18. 16:13

컨슈머 리포트에 의한 모델3가 미국에서 사랑 받는 70가지 이유

 

1. NHTSA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 최고의 안전 등급을 달성 했습니다.
2. Autopilot / Full Self Driving은 운전을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주는 재밌는 기술 입니다.
3. 순간 토크 + 모터 및 배터리 용량은 가장 재미있는 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4. 아름다운 차입니다.
5. 수퍼차징은 먼 여행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가솔린차나 테슬라가 아닌 EV를 이용한 여행보다 더 즐겁고 편리한 경우가 있습니다.
6. 버튼을 한번만 누르면 도어가 열리게됩니다. 자동차로 반년이 지난 후에도 재미 있고 만족스러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
7. 무료 또는 저렴한 연료. (집에서 충전하지 않아도, 나는 지역 내에서 모두 무료 인 공공 충전소에서만 요금을 청구했습니다. 일부 지역은 공공 요금을 지불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에서 충전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가솔린차를 운전하는 것보다 저렴합니다.)
8. 집에서 자동차를 충전 할 수 있습니다.
9. 글라스 루프,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는 좋습니다.
10. 새로운 V3 초고속 충전을 포함한 초고속 충전.
11. 스마트폰 앱을 통한 자동차 예열 및 냉열

12. 자동으로 온도 조정
13. 시트 -마사지를 기능이 있는 메르세데스 벤츠 S-클래스 시트를 제외하고 내가 경험 한 최고의 시트. (나는 마사지를 좋아한다.)
14. 열쇠가 필요 없이 잠금 /및 해제,  폰과 자동차가 모든 일을 수행 합니다.
15. 스티어링 휠 – 그냥 좋습니다.
16. 넷플릭스.
17. 유튜브.
18. Hulu (사용하지 않지만 좋아 보인다).
19. Twitch (역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20. Spotify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21. Beach Buggy..
22. Stardew Valley.
23. 체스 
24. 다른 게임.
25. 산타 모드.
26. 화성 모드.
27. 레인보우로드
28. 방귀 앱.
29. 트랙스.
30. 캠프 모드.
31. 오토파일럿 시각화(주변 사물을 인지하여 화면에 보여줌)
32. 예쁘다고 했었나요?
33. 트렁크와 프렁크 공간, 밑에 추가 공간이 있습니다.
34. 태양광으로 충전한 다음 "난 태양열로 운전한다" 고 하기
35. Cabin 과열 방지 
36. Dog 모드.
37. 드로잉 패드. (어린이도 대단하지만 성인도 재미 있습니다.)
38. Monty Python Easter egg.
39. 화이트 + 블랙 인테리어가 놀랍습니다.
41. 사운드 시스템은 최고 수준입니다.
41. 슈퍼 스무스 드라이빙.
42. 저속에서는 아주 조용하다(고속에서는 조용하지는 않지만...)
43.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로 인해 세계 최고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44. 3레벨 히팅 시트.
45. 자동 와이퍼 (자체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항상 좋지만은...)
46. 시트, 스티어링 휠 등의 VEGAN, PETA 승인 인테리어 소재
47. 스마트폰 소환 기능
48. 센트리 모드 (특별한 경우 앞,뒤,옆 카메라를 통해 자동 녹화)
49. 앱을 통해 트렁크, 프렁크, 도어 및 창문을 열거나 원격으로 조정 합니다.
50. #FrunkPuppyFriday
51. 앱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약간의 재미있는 트롤링과 호킹을 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이했습니다).
52. 완전 충전으로 먼 거리.
53. 발렛 모드 및 제한 속도 모드.
55. 스포츠카처럼 느낄 수있는 뛰어난 핸들링 능력.
56. 내비게이션 화면과 앱으로 충전 가능한 수퍼 차저 스테이션을 표시합니다.
57. 앱을 통해 쉽게 예약 할 수 있습니다.
58. 앱을 통해 도움 요청하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9. 앱을 통해 자동차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60. 특정 장소의 카풀 레인 액세스, 무료 주차 또는 기타 특전.
61. 음성 명령 — 음성 (텍스트 음성)을 포함하여 잘 작동합니다.
62. 드라이버 프로파일.
63. 에어컨  – 테슬라가 독특하게 설계했으며 일반적인 자동차 에어컨보다 잘 작동합니다.
64. 엄청난 효율성.
65. 거의 유지 보수가 없습니다.
66. 미국 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중고가격.
67. 미니멀리스트 인테리어.
68.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개선하는 OTA (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내 차를 가지고있을 때 Netflix, YouTube, 일부 게임과 같이 범위를 늘리고 전력을 증가 시키며 위의 여러 항목을 추가하는 업데이트를 받았습니다)
69. 브라우저 / 터치 스크린에서 CleanTechnica를 읽을 수 있습니다.
70. 세상의 공기가 좋아진다. 

 

 

(테슬라 오너들에게) 다음 전기차 뭐 사실껴? 미국, 캐나다, 영국

(BEV, PHEV 오너에게) 다음 전기차 뭐 사실껴?

(유럽 BEV 오너들에게) 전기차 뭐사실껴?

TTL

NHTSA 가장 부상 위험이 적은 차는? 모델3

posted by Evhybrid 2020. 2. 4. 13:25

 

 

테슬라가 우수한 이유는 이 고강도 스틸 프레임 입니다. 그리고 하체가 아주 견고하게 설계 되었다고 국내 유명한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중에서만 안전한 것이 아니고 어떤 승용차에 비해서도 매우 안전하게 설계된 자동차 입니다.